서울대에서 A+를 받는 방법

서울대 교수진만해도 동대학졸 대학원 졸 이 대다수다. 물론 그외 경우도 있겠지만. 7080년대는 더했다. 그당시는 본고사 치고 들어온 세대였다. 창의력보다 암기력 계산력 위주였다. 애초에 창의성과 거리가 먼 대학입시 그리고 순응할수밖에 없는 정량적 한계 그것들을 생각하면 분명 자기 잣대로 가르친대로 서술하는걸 고득점을 주는것을 채택할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그들도 그렇게 살았으니까 유태인 인구 고작 수천만에 노벨상의 절반 이상을 쓸어담은 유태인의 하부르타 교육법 그리고 프랑스 바칼로레아를 통해 철학 서술식 교육법이 분명 뛰어나지만. 한국 교수진이 그걸 수용할 능력 자체가 안된다. 앞으로 서서히 바뀌겠지, 외국에서 공부한 인재들도 많으니. 헌데 지금 수능 그리고 그 교육법에 따라 대입을 한 학생들에게 그걸 바라면 안된다. 20년간 그 교육에 길들여 졌고 교수는 저런 방식의 채점에 수십년 길들여 졌으니까



- EBS다큐프라임 서울대에서 A+를 받는 비법

서울대 교수가 학점 4.0넘는 학생들을 분석했다. 교수는 수업 참여도,적극성,창의성이 높은 학생이 성적이 좋을것이라 생각했다. 결과는 맹목적으로 수업내용을 적고 외우고, 교수의 색깔에 맞게 답을 써낸 사람만 4.0 넘었다.



서울대에서 연달아 두학기 4.0이상을 받은 우등생들의 공통점을 찾기 위해 조사해보니 딱 150명이 나왔다. 그중 46명이 수업태도,공부방법,생활습괍,가정환경등 광범위한 인터뷰에 동의하고 그 문항을 바탕으로 서울대생 전체를 대상으로 인터뷰했다. 밑에서부터는 그 46명들중 몇명의 인터뷰 내용이다.



저희 학교는 되게 재미있어요 교수님이 말씀하시면 다들 타타타타닥 필기소리 엄청나요 어떤 농담이 있었고 그런것 까지 암기를 해요 키워드나 요약 위주로 공부하면 불안해서 못해요



수업시간에 노트북으로 교수님이 하시는 말씀을 시나리오 적듯이 그대로 받아쓰는거에요.. 



기본적으로 많이 외우고 정리를 해서.. 



진짜 토시하나 안빠지고 써야하는경우가 많아요




서울대에서 학점 A+ 받는 비법 1 교수님이 설명하시는 모든 수업내용을 모두 필기한다. 학점이 높을수록 그 비율이 높았다.



저는 교수님 의견을..


어후 ..절대 안되죠.. 



교수님의 견해,분석,의견 쓸껏 같아요



남들은 하지않는데 시도할 용기는 나지않는것 같아요



46명중 41명이 자기 생각을 안쓴다고 그래요.. 내가 아무리 좋은 생각이 있어도 우리 교수님과 다르면 쓰지않아..



서울대에서 학점잘받는 비법2 교수님의 생각을 거스르지 않기


11학번 김상현씨는 학교 에서 알아주는 질문왕이었고 교수님들도 질문하느라 수고많았다고 기억해줄만큼 공부를 많이했는데 그걸 제한된 시간내에서 문제로써 푸는 연습을 안하다보니 시험을 못보다보니 학점이 높지않았다. 하지만 이혜정 소장의 연구를 접하고 A+를 받는 학생들의 수업태도를 그대로 따라해보았다.


수업내용을 토시하나 틀리지않고 적자


과거 질문을 많이하며 학교공부를 할때는 시키는게 많아 힘들었지만 재미가 있었던 반면 (질문을 막 던지던 시절) 이번에는 오로지 성적만을 위해 공부를 해서 힘들었다고한다. 질문왕 상현씨는 더이상 질문을 하지않는다고 한다. 이렇게 쓰면 이렇게 점수를 주겠구나로 분류하다 보니 공부에서 자기자신이 없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A+ (A-이상 과에따라) 안받아본사람은 왜 필사적으로 적는지 이해를 못할것이다. 단순하게 다 외우려고가 아니고 노트를 적음으로서 얻는 이점들이 많다.


- 일단 가장 중요한 생각의 정리 

지식을 이미 머리에 100퍼센트 이해하고있는 교수가 말하면 똑똑한 수재들도 가끔의 실수할 수 있는 당연한부분을 말하지 않을때가 있다. 아니면 그냥 이건이러고 저건 저런데 이유를 충분히 설명하지않아서 규칙을 찾기 어려운경우가 교수 설명 중간에 발생한다. 여기서 손을 드는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이건 정신적 스트레스수치가 올라간다. 여기서 만약 노트를 쓰고있었다면 누가 질문안하고 넘어가도 궁금한점을 나중에 인터넷이나 개인질문을 통해 바로 잡을수있다. + 생각 혹은 고민에 시간을 뺃기지않아도 된다.


- 두번째이점은 강제 집중성

노트를 쓰면서 설명을 들으면 그냥 설명만듣다기 딴 생각할 확률이 줄어든다.그대신 스트레스를 좀 받겠지만 말이다.


- 세번째는 지식을 단계적으로 이해하고 마치 벽돌을 쌓아가면서 벽돌하나가 빠져도 쉽게 무너지지않을 지식을 만들수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