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게임 규제 근황 입니다.
- 유머
- 2018. 12. 18. 20:08
중국은 전세계에서도 검열로 악명이 높은 나라다. 자국의 시장은 개방했어도 정치는 여전히 공산당의 독재이며, 공산당 일당 독재 체제에 대한 반대를 금지함과 더불어 냉전 시절 다른 공산국가들처럼 정부가 문화 콘텐츠를 검열하던 것도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이는 오랜 역사와 함께 쌓여온 유무형의 문화와 14억에 달하는 인구의 거대한 내수 시장을 원동력으로 하는 커다란 문화 발전의 잠재력까지 발목을 잡기도 한다.문화 콘텐츠 검열이 독재국가의 흔한 특징이기는 하나 중국의 그것이 특히 문제인 것은 외국에도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중국 시장의 막강한 경제력과 소비력을 보고 중국 시장에 뛰어드는 타국의 콘텐츠 제작자들이 습관에 따라서든 편의를 위해서든 중국의 검열을 통과하기 위해 행하던 자체 검열을 하는것도 모자라 중국에서 검열되거나 중국에 맞춰 자체 검열한 콘텐츠를 자국에 그대로 역수입해 적용하는 바람에 외국인들까지 중국의 검열의 피해를 입는 것이다.
온라인 게임 검열, 심의를 담당하고 판호를 발급하는 국가신문출판총서가 있다 중국의 게임 및 IT 규제는 외국계 및 외국계 합자기업의 인터넷∙콘텐츠 사업을 제한하려는 중국 공산당의 의도가 드러난다. 외국 콘텐츠를 공산당이 통제, 자국 기업을 보호하겠다는 취지뿐 아니라, 사회주의 체제를 긍정적으로 다룬 작품을 지지한다는 내용이 규정에 들어 있다.
온라인게임 도덕위원회가 '도덕적 해이'가 있는 온라인 게임 20개를 검토했다. 11개의 게임에 대해 도덕적 해이에 대대적인 수정, 9개 게임에 대해서는 서비스를 승인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렸다.
---- 서비스 시정 ----
1.왕자영요(텐센트,모바일)
수정사항: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등급에 의한 보상이 지급됐고,역사와인문의 가치를 왜곡함
2.리그오브레전드(텐센트,PC)
수정사항: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등급에 의한 보상이 지급됐고,채팅채널이 화협하지않음
3.블레이드앤소울(텐센트,PC)
수정사항: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역사와인문의 가치를 왜곡함
4.초류향(넷이즈,모바일)
수정사항: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등급에 의한 보상이 지급됐고,게임미션 중 사기요소가 존재함
5.오버워치(넷이즈,PC)
수정사항:게임화면이 부정확한 가치관으로 유인하며, 채팅채널이 화협하지 않음
6.디아블로(넷이즈,PC)
수정사항:채팅채널이 화협하지않고,게임미션 중 사기요소가 존재함 (블자는 이미 고어하거나 민감한 요소까지 없앴는데 걸림ㅋ)
7.월드오브워크래프트(넷이즈,PC)
수정사항: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채팅채널이 화협하지않음
8.대화서유(넷이즈,PC)
수정사항: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등급에 의한 보상이 지급됐고,역사와인문의 가치를 왜곡함
9.코드명 Eve(텐센트,PC)
수정사항:등급에 의한 보상이 지급됐고,역사와인문의 가치를 왜곡함
10.미르의 전설3(샨다,PC)
수정사항:채팅채널이 화협하지 않음
11.고검기담 온라인(WangGyuan Shengtang, PC)
수정사항:채팅채널이 화협하지 않음
---- 서비스 불허 ----
12.배틀그라운드(텐센트,PC)
사유:폭력을 추구함
13.포트나이트(텐센트,PC)
사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임
14.H1Z1(텐센트,PC)
사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임
15.아바(텐센트,PC)
사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임
16.무한법칙(텐센트,PC)
사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임
17.팔라딘스(텐센트,PC)
사유: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임 (중국 유저 겨냥해 중국맵도 만들었는데 정지ㅋ)
18.프리파이어(가레나,모바일)
사유: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임 (이미 표절 문제까지 있었는데 정지 크리 먹음)
19.황야행동(넷이즈,PC)
사유:여성캐릭터가 너무 노출됐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임
20.양자특공(넷이즈,PC)
사유:폭력을 추구하고,저질적인재미이며,채팅채널이 화협하지않음
던전앤파이터와 로스트 아크는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