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단어수가 많은 언어 TOP14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구분짓는다면 질적으로 다른 언어의 차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몇몇 동물들은 실제로 언어를 가진 것으로 보이나 인간의 혀의 발음을 완벽히 소화하는 동물은 없다고 봐야한다. 극소수의 손꼽히게 뛰어난 앵무새 들은 언어를 배워 의사소통이 가능하나 사육사의 훈련을 통해 시키는 행위를 할뿐 자신의 생각을 전달할 수 있는것은 아니다. 언어(language)는 인간이 일반적인 의사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기호 체계이다. 만약 기술이 발달한다면 기존의 음성 언어 말고도 뜻 자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세계에서 가장 단어가 많은 언어들은 어떤것이 있을까?






14위 영어 

총단어수 - 17만개 

산업혁명의 본고장의 언어라 온갖 학문부터 심지어는 스포츠에 이르기 까지 영어가 안들어간 곳이 없으며 그 외 대영제국의 유산들과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의 힘까지 합쳐져 현재까지 공용어로 쓰이고 있는 언어다. 그냥 현대 문명을 탄생 시킨 언어, 그래서 단어수도 많아 세계 14위에 랭크 됐다. 가장 쉬운건 문법이고 가장 어려운건 철자법이다 영어는 세계에서 철자와 발음 사이의 비일관성과 불일치가 제일 심한 언어가 아닐까 생각한다. 얘들은 처음 보는 단어는 사람들한테 읽는법 물어본다.




13위 체코어 

총단어수 - 25만개 

폴란드어와 같이 어려운 슬라브어로 통한다. 슬로바키아어와 거의 유사하다.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서울말로 충청도사투리정도 차이라고 보면 된다. 한국인입장에서는 슬로바키아어가 체코어보다 훨씬 쉽다. 




12위 이탈리아어 

총단어수 - 26만 이상 

이탈리아어 표준어는 피렌체 방언을 기초로 한다. 이탈리아는 열강 세력중 막바지에 가서 합류하는 바람에 역시 식민지를 많이 건설하지 못해 유럽 강국들중 가장 화자수가 적다. 다만 이탈리아는 역사적으로 아일랜드와 함께 유럽의 대표적인 이민자 수출국으로 유럽 뿐만 아니라 북미나 중남미에 이탈리아어 사용 인구가 상당수 있다. (예로 아르헨티나 인구의 70%는 이탈리아계다, 메시도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이다.)




11위 불어 

총단어수 - 27만 

독해 작문은 영어 버프때메 쉬워보이지만 회화가 어렵다. 사람에 따라서 회화 자체는 사실 그렇게 어렵진 않을수 있다. 다만 프랑스 사람들이 말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어렵다. 




10위 구자라트어 

총단어수 - 28만개 

구자라트(ગુજરાતી)잉엉리시어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아리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의 구자라트 주에서 쓰이는 공용어다. 

이게 무슨 언어냐 할 수 있겠는데 이 언어의 화자로 가장 유명한 인물이 인도 국민들의 아버지라 불리는 "마하트마 간디"다. 





9위 독일어 

총단어수 - 33만개

인구도 1억정도로 많고 독일이라는 나라와 독일어를 쓰는 나라들의 총인구의 경제력이 유럽내에서 앞에서부터 줄세워두는 수준이라 유럽내에선 일진언어다. 특히 독일어는 영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보다 단어가 길다고 생각하는데 맞다. 사실이다.





8위 네덜란드어 

총단어수 - 40만개

우리나라에서 네덜란드어를 배울수 있는 교육기관은 한국외대 네덜란드어과 딱 한곳 뿐이다. 외대 네어과가 동북아시아 유일한 네덜란드어과 라고 한다.




7위 노르웨이어 

총단어수 - 50만개

덴마크어와 스웨덴어의 중간자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노르웨이어 구사자는 덴마크어/스웨덴어 구사자와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덴마크어를 대강 스웨덴어 식으로 읽으면 노르웨이어'라는 농담이 있을 정도





6위 리투아니아어

총단어수 - 50만개 이상 

한국과 자살율로 경쟁하는 나라다 역사적으로 폴란드에 매달려 잘나갔지만 소련한테 같이 따이고 소련 붕괴랑 같이 독립한 사실. 크게 몰라도 되는 나라다. 북유럽처럼 잘사는것도 아니고 




5위 일본어 

총단어수 - 50만 ~ 56만개

오덕계의 라틴어 아무리 일본어를 몰라도 인터넷을 접하다 보면 한번쯤은 "야멧떼 혼모노 부카케 망가 시오후키 아헤가오 기모찌 닝겐 잇쇼니 사케 노무 등" 은 들어보게 된다. 특히 한국 젊은층에선 거의 한국어와 비슷할 정도로 일본단어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굉장히 자주 쓰인다 예) 간지(칸지-感じ:느낌) 아다(아타라시-新しい:새로운)등 





4위 아이슬란드어 

총단어수 - 56만개 이상

아이슬란드어는 유럽에서 가장 순수한 언어로 노르웨이계 바이킹이 들어온 후, 아이슬란드어는 외부 언어와 접촉없이 옛 노르드어의 형태를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다 오죽하면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들(스웨덴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이 서로 자국어로 대화해도 의사소통이 어느정도 가능하지만 아이슬란드어는 의사소통이 전혀 안된다



3위 스웨덴어 

총단어수 - 60만개 

노르웨이어와 덴마크어와 많이 비슷하다 위에 아이슬란드어에다 적었지만 서로 어느정도는 의사소통이 되긴 된다. 다만 한국인이 이거 배울 이유는 가서 살지 않는 이상 없다. 그나마 장점이라면 문법이 독일어보다는 훨씬 단순하다.





2위 터키어 

총단어수 - 61만7천개 

원래 아랍 문자를 쓰다가 문맹률이 너무 높아 아랍 문자 버리고 라틴 알파벳으로 문자를 갈아탔다. 터키도 음슴체를 쓰는 거 같다. 우리말이랑 어느정도 문법이 비슷해서 배우기 쉽다. 피똥쌀 각오로 한번 내리달리면 2년안에 마스터 가능하다.





1위 한국어

총단어수 - 110만개 

사전이 무색하다 사전에 없는 말들이 웬만한 언어 단어들보다 많을듯하다. 한글 대신 한자 썼으면 우리말이 중국어나 일본어보다 더 어렵다고 알려졌을 가능성이 크다. 합쇼체, 문어 서술식 해라체, 해요체 등 상황 관계에 따라 어미가 완전히 뒤짚힌다. 심지어 문어를 구어로 전달할 때에는 둘이 혼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심할 때에는 똑같은 내용의 구어임에도 합쇼체(토론 및 발표) 해요체(비격식적 자리에서 높임말로 전달) 해체(반말 및 친구 사이) 문어체 혼합형('~한다'식 서술 해라체로 된 내용을 읽으면서 상대에게 전달할 때) 이렇게 네 개도 나올 수 있다. 문법적으로 아무리 올바른 문장을 썼다고 할지언정 상황에 따라 문법적인 어미가 쓱쓱 달라지는게 한국어라서 이 점은 한국어 학습자들을 심하게 괴롭힌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